깃으로 버전관리 하자
init 명령어
git init
git init
을 하면 git이 현 작업 폴더의 파일들의 변경 사항을 추적(?)하기 시작합니다.
add와 commit 명령어
git add 파일명
git commit -m '커밋 메세지'
staging area & repository
git add 명령어로 작업 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staging area
에 넣을 수 있습니다.
이 작업을 staging
이라고 흔히 부릅니다.
repository
는 commit
된 파일의 버전들을 모아놓는 곳입니다.
git add 파일명1 파일명2
이렇게 여러 파일을 동시에 스테이징할 수 있습니다.
git add .
위 방식은 현 폴더의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하는 방식입니다.
기타 명령어
git status
지금 변경된 파일, 스테이징된 파일들을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.
git diff
최근 commit된 내용과 현재 파일 내용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. 실행 시 Vim 에디터가 켜져서 j,k키로 위 아래 스크롤이 가능하고 q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.
git diff 커밋id
과거 특정 커밋과 현재 파일을 비교해보고 싶으면 diff뒤에 특정 커밋의 id를 입력해주면 됩니다.
git diff 커밋1id 커밋2id
과거 두 커밋 사이의 차이점을 알려줍니다.
git difftool
을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더 편한 방식으로 보여줍니다.
터미널로 차이점 보는 건 불편해서 diff 관련 명령어를 터미널에 직접 쳐서 확인하는 일은 없을 거 같음.
git restore --staged 파일명
스테이징된 파일을 스테이징 취소하는 명령어입니다.
git log --all --oneline
commit된 기록들을 한번에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. diff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j,k키로 상하 스크롤 그리고 q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.
--graph 속성을 뒤에 더 붙여주면 그래프를 그려준다고 합니다.